전복
참전복, 까막전복의 기초 수온, 적산 수온
-참전복: 기초수온: 7.6, 적산 수온: 500~1500(실용 적산수온: 1300이상)
-까막 전복: 기초수온: 5.3, 적산수온: 1800~3500(실용 적산수온: 3500)
전복 산란 자극법
1)자외선 조사 해수 자극
2)수온 자극
3)과산화수소 자극
4)간출 자극
5)ph자극
전복이 첫 먹이를 먹는 시기 및 종류
1)처음 먹이를 먹는 시기: 부화 후 3~4일
2)먹이의 종류: 암포라, 나비쿨라, 코코네이스, 부착 규조류
*고막의 경우: cyclotella nana
전복의 어미 선정
1. 같은 중량의 어미 구입 시 큰 종묘를 적게 사는 것 보다, 작은 종묘를 여러개 구입한다.
2. 육안적으로 성숙해 보이는 것도 채란이 힘든 개체가 있기 때문에 종묘를 충분히 많이 준비한다.
3. 성숙한 전복은 생식소가 배대해져있고, 극단적인 것은 터지기 직전이다.
4. 육안적으로 성숙해 보여도, 산란을 하지 않으면 일정 기간 사육이 필요하다. (종묘는 자연산이 좋음)
전복의 폐사 시기와 원인
-주구각이 생길 무렵, 제 1 호흡공이 생기기 직전 각장 1~2mm
-먹이인 부착 규조류가 적기 때문이다.
전복 배합사료의 필수조건
-방부성이 우수하고, 수중에서 보형성이 좋은 것
-기호성이 좋고, 성장이 빨리 되는 것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있는 것
동해안의 울릉도, 서해안의 어청도 및 남해안의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전복의 종류
-울릉도, 어청도: 참전복
-제주도: 오분자기, 말전복, 시볼트 전복, 까막 전복
전복의 탱크 양식 시설에서 전복 수용량을 정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항목
1. 전복의 크기
2. 수온
3. 산소 소비량
4. 환수량
오분자기와 시볼트 전복의 비교
1)오분자기: 6~9개의 호흡공
2)시볼트 전복: 4개의 호흡공
방류용 전복치패의 크기가 작을 때 방류 후 그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대책을 기술하시오.
1)전복의 크기가 클 수록 생존률이 높다.
2)수심이 얕은 곳 보다는 2~3m 정도로 어느 정도 수심이 되는 곳에 방류한다.
3)방류 종묘의 크기가 20mm보다 작을 때에는 방류용 양성장을 만들어 방류한다.
4)먹이 생물인 해조류가 번성한 곳에 방류한다.
5)해적생물이나 먹이 경쟁생물은 미리 구제한다.
실내 양식장 전복치패 생존율 향상 방법
1)용존 산소 증가
2)10~25도시의 수온
3)많은 먹이량
전복의 육상 수조 운반법은
1)전복은 공중활력이 클수록 생존 기간도 길어지기 떄문에 운반은 3~5월 경이 좋다.
2)수송 용기에 해수를 채우는 것보다 채우지 않고 그대로 수송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인다.
3)수송 용기는 운반이 편리한 크기로 , 습기 유지가 좋고 흡착 가능한 면적이 넓어야하며 전복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칸막이를 해서 수용한다.
참전복의 방란, 방출 시 방출 기관
-생식소에서 알이나 정충이 새실로 나오고 새실 뒤에 열려 있는 제 2~3 호흡공을 통해서 방출된다.
전복의 배합사료의 성형과 보형성을 위해 넣는 물질
성형: 탄수화물
보형성: 알긴산나트륨
'일상 > 시험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 양식 기사 준비(굴, 가리비) (1) | 2020.07.23 |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기출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기출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기출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