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를 많이 주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 3가지
1) 수질 악화
2) 사료 효율의 저하로 양식 경비 증가
3) 질병의 발생
4) BOD, COD 증가
5) 부유 물질 농도 증가
6) 용존 산소 감소
양식장 입지 조건 중 수온의 조건을 2가지 이상 쓰시오
1)연간 성장 적수온의 범위가 긴 곳
2)성장 적수온의 범위가 긴 곳 중에 수온이 높은 곳
3)적정 수온 범위 내에서 연교차가 적은 곳
4)해류나 조류에 의한 수온 변화가 적은 곳이 유리
잉어 사육의 정수식 양식에서 필요한 못의 종류를 모두 열거하시오
1)친어지
2)산란지
3)부화지
4)치어지
5)양성지
6)축양지
7)월동지
잉어 부화 자어 관리법
1. 부화 직후: 부화 후 2~3일 간은 난황을 흡수하기 때문에 먹이를 먹지 않는다.
2. 자어기: 부화 2~3일 후 난황 흡수 후 부터는 물벼룩, 로티퍼 등 작은 플랑크톤을 먹는다.
3. 치어기: 방양 1~2주 후 물벼룩이 없어지면 배합사료 를 공급한다.
잉어 초기 먹이로 물벼룩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서술하시오
저수지의 흙 혹은 논의 흙으로 수조의 5~10cm의 높이로 흙을 깔아준다. 그 위에 1m^2 당 닭똥 0.5~1.0kg, 비료 1.5kg을 뿌려준다. 2~3일 뒤에 논에 30~50cm의 높이로 주수를 해준다. 7일 후부터 물벼룩이 발생하면서 적갈색의 물이 녹색으로 변화하면서 물벼룩이 발생한다.
잉어 양식지 저수지 특징
1. 바닥이 평평하고 무르지 않을 것, 수심 1~4m
2. 완전 배수가 될 것
3. 소형의 화물차가 드나들 수 있을 것
4. 갈수기에도 만수면적의 1/2 이상일 것
5. 일조 시간이 긴 곳
6. 수면적 1~10ha
잉어가 필요로하는 비타민 2가지와 결핍시 나타나는 증상
비타민 B2: 성장 중지, 식욕 저하, 피하 출혈, 폐사 증대
비타민 B6: 성장 중지, 평형 감각 상실, 발광, 수종, 경계
잉어 종묘 육성시 성장 불균형의 원인
1)먹이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않았을 때
2)수질이 악화되었을 때
3)못의 크기가 클 때
4)바닥에 수초가 많을 때
5)방양 치어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 할때
메기의 자어 양식(수조의 크기, 방양량, 환수율, 방양 방법, 먹이 공급)
1)수조의 크기
-가로 3m, 폭 0.5m, 수심 30cm 정도의 탱크에 사육
-지중 사육시 3300m^2 정도가 보편적이다.
2)방양량
-자어일 경우 1000m^2당 13,000~60,000마리 수용
-120일 사육 후 5~10cm 치어 사육 시 1000m^2당 30,000~40,000마리 수용
-120일 사육 후 15~20cm 치어 사육 시 1000m^2당 4,000~5,000마리 수용
3)물관리
분당 자어 20L > 치어 4L 주수
4)방양 방법
못의 한 쪽에 가두리를 만들어서 가두리에 일시 수용 후 방양 혹은 즉시 방양
5)먹이 공급
-자어: 방양량의 4~5%
-치어: 어체중의 3~6%을 아침, 저녁으로 공급한다. 성장함에 따라서 먹이 공급량을 줄이고, 한 여름엔 어체중의 1.5%
담수 어류 중 외국종을 도입하여 양식 산업에 적용하였던 종 중 산업적으로 성공한 어종 3가지
-틸라피아, 무지개 송어, 초어, 향어
식용 틸라피아에서 나는 어육의 흑감내, 곰팡이 냄새의 원인과 대책
1)원인
-틸라피아를 사육하면서 수온의 유지를 위해서 태양 광선을 쐬어주는데 이때, 여러가지 광합성 생물이 자라나게 된다. 이 중 지오스민이 어육의 흙감내를 유발한다.
2)대책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맑은 물에 약 2주간 축양해서 해캄내를 빼준다. 이때 축양은 유수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담수 양어 방양 개체수 결정 시 고려되는 요소 5가지
1)방양 대상 종
2)환수량
3)양식 시설 종류
4)방양 대상의 크기
5)먹이 생물의 발생정도
6)시설 면적
7)산소의 양
8)수심
9)수질의 자정능력
그물 가두리 양식은 담수어나 해수어에 사용하나, 붕어나 미꾸라지 양식은 하지 않는 이유 3가지
1)붕어나 미꾸라지는 가두리 그물에 의해서 표피에 상처가 나기 쉽고, 호기성 세균이 번식해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2)붕어나 미꾸라지는 그물의 파손에 의해서 도피의 위험이있다.
3)먹이를 공급하기가 어렵고, 치어 생산이 되지 않는다.
뱀장어의 순환 여과식 양식시 유의점 4가지
1)정전과 기계의 고장에 대비하여서 시설한다.
2)불규칙한 먹이 공급은 피한다.
3)먹이와 수용량은 한번에 늘리지 않고 10~20일에 거쳐서 서서히 늘려야 한다.
4)사육 중이라도 먹이 량은 7일에 걸쳐서 서서히 늘린다.
5)설계 시설은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서 적절한지 점검을 받고, 적절할 때 가동시킨다.
6)여과 능력의 한계가 왔을 때에는 1~2일 마다 대량 환수를 해준다.
7)급격한 수온 변동은 막는다.
뱀장어 사육 관리에서 실지렁이에 의한 길들이기(먹이 붙임 순서)
1)뱀장어 사육 초기에는 실지렁이를 잘 먹고, 성장도 좋기 때문에 실지렁이를 공급한다.
2)2~3일 정도 먹인 후에는 에드워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지렁이의 양을 서서히 줄인다.
3)실뱀장어를 수용한 후 1주일에 걸쳐서 수온을 천천히 올린 후 먹이 주기를 시작한다.
4)실지렁이를 실뱀장어의 10배정도 먹이면 배합 사료를 먹인다.
5)수온이 28도시 정도로 올라가면 먹이 붙임을 시작해주고 배합사료와 실지렁이를 혼합해서 먹일 때 부터는 30도시로 올리면 성장이 더 잘된다.
실뱀장어의 소상
1)대조시의 만조 일 때
2)수온이 8도시가 되면 서서히 소상 무리가 보이기 시작하고 14~16도시가 되면 소상이 활발하다.
3)바람은 풍량 1~2정도의 미풍
4)운량은 6~8정도의 포근한 기후
5)일몰때부터 2~3시간 이내 만조
뱀장어 양성 시 주로 물변화가 발생하는 시기과 수온 및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원충류가 차지하는 비율
1)물변화가 발생하는 시기와 수온
-5~6월, 9~10월경 17~20도시일 때 물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동물성 플랑크톤에서 원충류가 차지하는 비율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원충류가 70% 이상을 차지한다.
뱀장어 물 변화의 원인 및 물 만들기
1)물 변화의 원인
-수질 이상을 식물플랑크톤의 조성이 변하고, 동물플랑크톤이 이상 번식할 때
-윤충류나 물벼룩이 식물플랑크톤을 포식하여서 대량 번식
-영양염류가 다량으로 있고, 탄산이 결핍
-12월~4월에 섬모충류가 이상 발생할 때
2)물 만들기
식물 플랑크톤 진하게 발생시켜 초록색 물을 만드는 과정
은어 사육시 사료를 줄 때 주의해야 할 점
1)피드 오일 5%을 첨가해서 배합사료를 공급한다.
2)수온이 26도시 이상이 되면 수온이 낮은 아침과 밤에 먹이를 나눠서 공급한다.
3)밤과 아침에 하루 먹이 공급 량의 40~60%를 약 4시간 동안공급한다.
'일상 > 시험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 양식 기사 실기 (0) | 2020.07.22 |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기출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기출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0) | 2020.07.22 |
수산 양식 기사 실기 (0) | 2020.07.21 |